핫이슈

담배값인상,술값인상 해서 국민건강수명연장한다는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쫑이llll 2021. 1. 27. 22:34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에 보건복지부에서 담배값, 술값을 인상하여 국민건강수명을 연장한다는 얘기가 나오네요.

어떤 이유에서인지 그리고 또 얼마나 인상되는지 한번 알아볼게요 :)

 

보건복지부의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보건복지부

복지부는 이번 계획에서 지난 2018년도 기준 70.4세였던 건강 수명을 2030년까지 73.3세로 연장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건강수명은 기대수명에서 질병이나 부상 등 유병 기간을 뺀 수치이고요.

지난 2018년 기준 국민의 기대수명은 82.7세로 건강수명과 12년가량 차이가 난다 하네요.

 

바로 이를 위해 정부는 대표적인 건강 위해 요소인 흡연에 대한 가격·비가격 규제를 강화할 방침입니다.

특히, 담배 가격을 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 수준으로 올린다는 계획이죠.

 

다만, 시점이나 인상폭 규모에 대해서는 아직 더 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늦어도 이번 5차 계획이 종료되는 2030년 이내에는 가격과 건강증진 부담금이 인상될 것이라 보고 있습니다.

 

전자담배 및 신종담배 계획

 

전자담배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담배  종류가 엄청나게 많죠.

특히 전자담배가 종류가 어마어마하죠.

이러한 전자담배 등 신종담배의 무분별한 시장 진입을 막기 위한 계획도 제시했습니다.

 

담배의 정의를 기존 연초에서 합성 니코틴을 원료로 하는 담배와 전자담배 기기장치 등으로 확대하기로 했다네요.

제조 업체들의 담배 및 담배 배출물 성분 제출도 공개를 의무화하고, 모든 건축물에서 실내 전면 금연도 추친예정입니다.

 

지난 2018년 성인 남성 흡연율 : 36.7% --> 2030년까지 25.0% 로 낮추고,

지난 2018년 성인 여성 흡연율 : 7.5% --> 2030년까지 4.0%로 낮출 방침입니다.

 

 

여러분 혹시 담배값의 세금이 어떻게 들어가는지 아시나요?

 

구분 출고가와
유통마진
국민건강
증진부담금
담배소비세 지방교육세 개별소비세 부가가치세
4,500원 기준 1,182원 841원 1,007원 443원 594원 433원

 

변경 예정 사항

 

1. 10년 이내에 담배값을 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 7달러(7,700원) 수준으로 인상되고

국민건강증진기금 부담금 수입 규모도 WHO 평균 수준으로 인상됩니다.

 

2. 그리고 경고그림 면적을 현재 50%에서 75%까지 확대하고 광고 없는 표준 담배값 도입 등

가격·비가격 규제를 함께 강화한다고 합니다.

 

3. 새로운 담배의 정의 : 연초, 합성 니코틴을 원료로 하는 담배와 전자담배 기기장치 등으로 확대하고 광고가 없는 표준 담배값 도입할 예정입니다.

 

4. 여기다가 술값 인상도 검토 예정이라네요.

 

 

YTN 뉴스 관련 동영상

담배값 인상 뉴스

 

: 저도 흡연자입니다. 물론 요즘엔 냄새 때문에 연초는 피지 않고 전자담배를 피우고 있죠.

제가 처음 담배를 폈을 때 가격이 2100원이었던가...? 그랬는데 그다음 4500원이 되고 이젠 상상도 못 할 금액으로 올라갈 것 같네요.

금연해야지 해야지 하다가도 일이 힘들고 스트레스받게 되면 생각나게 되는 이 중독 정말 무섭죠..

 

2100원에서 4500원 될 때 "난 오르면 진짜 끊는다" 했던 게 엊그제 같네요 ㅎㅎ

금연 쉽지 않지만 이번엔 진짜 진지하게 생각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이제 저도 나이가 있기에... 건강 생각해야죠 : )

 

 

글 속에 숨은 TIP을 모두 확인하셨나요?

 

좋아요  구독하기 감사합니다.

오늘도 멋지고 좋은 하루 보내세요 : )

 

 

반응형